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66 광주대교구 남동 5.18. 민주화운동 기념 聖 오틸리아 성당(+미사 시간) 광주광역시 두번째 성당이자 5.18. 민주화운동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광주 남동성당 순례, 미사 저는 지난 2025년 11월 9일에 한국 천주교 성지순례로 고창 개갑장터 성지, 영광 순교자 기념성당으로 갔습니다.성지 순례를 한 후 주일미사를 드릴 성당을 물색하다가, 광주 남동성당이 5.18. 민주화 운동 기념성당으로서의 의미도 간직하기에 영광시외버스터미널에서 버스를 타고 광주 남동성당으로 왔습니다. 광주광역시 남동 5.18. 기념성당은 1949년 7월, 당시 광주교구장 안 파트리치오 몬시뇰의 지도 아래에서 광주의 두 번째 성당으로 설립되었습니다. (첫 번째는 북동성당입니다.)초대 주임사제 박문규 미카엘 주임신부와 신자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남동본당은 크게 성장하였으며 그 후 화순 공소를 본당으로 승격.. 2025. 11. 14. 광주대교구 임동 주교좌 "성 안셀모" 성당 (+미사 시간) 광주대교구에는 주교좌성당이 2 곳 있습니다.처음에는 북동성당이 주교좌성당이었지만 세월이 흐름에 따라서 장소가 협소했기에 임동성당을 새로 건립하여 주교좌성당을 추가하였습니다. 광주 임동 주교좌성당의 주보성인은 성 안셀모입니다. 주보성인을 '안셀모'로 하는 성당은 흔치 않습니다.광주 임동 본당 설립에 재정적 도움을 주었던 미국의 '안셀모' 형제의 뜻을 기억하기 위하여 그분의 본명인 '안셀모'를 본당 주보성인으로 모시게 되었다고 합니다. 광주광역시에서 혼인미사로 인기가 있는 성당이라고 합니다. 대성전 출입문을 여니까 서쪽방향으로 위 사진과 같은 유리화가 있었습니다. 성전 층고가 높네요. 뒤쪽 성가대석에 커다란 파이프오르간이 있는데 파이프오르간 연주의 울림이 좋을 것 같아요.제대 벽 세로로 기다란 스테인드글.. 2025. 11. 13. 마산교구 거제 지세포성당 (+미사 시간) 지세포성당은 2025년 9월 경에 제가 순교자 윤봉문 요셉 성지 순례를 갔을 때 근처에 있는 본당이기에 들렀던 기억이 납니다. 윤봉문 요셉 성지 순례를 하고나서 잠시 휴식도 취하고 기도도 드릴 겸 해서 지세포성당으로 왔습니다.천장 지붕 각 진 모습이 독특하네요. 원래는 기존에 성전이 있었으나 2003년 9월 태풍 매미 때문에 성당 지붕이 완전히 파손되는 피해를 입었다고 합니다.2004년에 다시 봉헌한 성전입니다. 성전 안을 보니까 나무 재질로 내벽 마감을 하였네요.그런데 꼭 최근에 리모델링한 성당처럼 깔끔합니다. 교우분들께서 관리하시느냐고 노력 많이 하신 것 같습니다. 아기자기하고 마음 편한 성당이었습니다. 거제도 천주교 성지순례를 마치고 지세포성당에서 기도를 드리니 피로가 많이 풀렸기에 다음 행.. 2025. 11. 12. 제주교구 모슬포 파티마의 성모 성당 (+미사 시간) 제주교구에는 여러 천주교 순례길이 있는데 그 중에 "정난주길"이라고 총 길이는 31.8km가 되어 정난주 마리아 묘(대정성지)에서 모슬포성당까지 순례하는 길이 있습니다. 바로 위의 사진은 일명 "사랑의 집"입니다.이 건물은 1954년에 지어진 제주 대정지역 최초의 성당입니다.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한 후에 제주 대정지역에는 육군 제1훈련소가 들어섰고 중공군 포로수용소가 설치되었습니다.포로수용소의 설리반 군종신부는 이곳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중공군 포로들을 시켜 성당 석조 외벽공사를 마쳤고, 1953년 포로교환과 함께 떠났습니다.제1훈련소 군종 김이환 스테파노 신부에 이어 김덕제 치릴로 신부께서 성당을 완공하여 1954년 3월 12일 광주교구장서리(그 당시에는 제주교구는 광주대교구 소속이었.. 2025. 11. 11. 이전 1 2 3 4 ··· 21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