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 천주교 성지순례68 춘천교구 양양군 양양 아기예수의 성녀 데레사 성당 (+미사 시간) 양양성당의 역사와 순교자 이광재 티모테오 신부 그리고 양양성당 성지순례 후기 1887년 원산, 1889년 안변, 1891년 내평 본당에 진출한 파리외방전교회 선교사들에 의하여 사목이 이루어지던 양양 지역에 본당이 설립된 것은 1921년 5월로, 최문식 베드로 신부님이 양양군 도천면 상도문리(지금의 설악동 입구)에서 사목을 시작하였습니다. 이듬해에는 교세 확장을 검토하면서 성당 이전에 대한 계획을 세워서 양양읍 서문리 282번지로 이주하였고 주보를 '지극히 거룩한 예수성심'으로 하였습니다. 2대 주임이셨던 유재옥 프란치스코 신부님은 서문리가 양양읍에서 변두리 지역이고, 그 당시에는 지대가 낮아서 홍수 등 침수 피해에 취약한 점을 인지하시고 지금의 성내리 자리로 성당 부지를 마련하셨습니다. 1939년 4월 .. 2025. 10. 18. 동해 묵호 바다의 별 성당 (+미사 시간) 동해 묵호성당의 역사와 특징 그리고 순례 후기 묵호본당은 1940년 강릉본당(현재 임당동성당)의 관할 공소였으며, 해방 후에는 해군 사령부의 군종 신부가 부임하여 사목하였습니다. 1948년 6월에 본당으로 승격되었지만, 성전은 없었기에 초대 주임 사제인 한 프란치스코 신부는 묵호항 근처의 일본식 가옥에 임시 사제관을 마련하고 미사를 집전하면서 사목활동을 하였습니다. 1949년 8월에는 라 파트리치오 신부가 부임하였지만, 한국전쟁 중 순교하여 묵호본당은 주임 사제 없는 곳이 되었습니다. 주임신부조차 없는 현실에서 묵호본당 신자들은 근처 삼척본당(현재 원주교구 성내동성당)을 다녔고(그 당시 삼척본당은 춘천교구 소속이었습니다.), 결국 1954년에 묵호본당은 삼척본당 소속 공소로 격하되었습니다. 퀸란 춘천교.. 2025. 10. 17. 아름다운 세월의 흔적을 간직한 예쁜 성당 ; 강릉 임당동 성 골롬바노 성당 (+미사 시간) 강릉 임당동성당의 역사와 특징 강릉 임당동성당은 춘천교구 강릉시에 설립된 본당 중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간직하고 있습니다. 1921년 7월에 이철연 프란치스코 신부가 구정면 금광리 교우촌에 머물면서 사목을 시작하여, 1923년 주문진, 1931년 강릉읍 임정(林町)을 거쳐서 1934년 현재의 자리로 이동하였습니다. 초창기에는 강릉본당으로 불리었지만 강릉 시내에 교세가 확장되고, 1974년 12월 15일 옥천동본당을 분가시키면서 지금의 이름인 임당동성당으로 본당 이름을 변경하였습니다. 임당동성당은 1955년에 준공되었습니다. 본당 설립 70주년을 맞은 1991년에는 성전 보수를 추진하여 성 베네딕토 수도원 수사들이 제작한 스테인드글라스가 성전 유리창에 설치되고, 이콘이 장식된 제대와 청동 십자가 고.. 2025. 10. 16. 대구대교구 성모당 순례 (+미사 시간, 상설 고해, 전대사 안내) 대구대교구 성모당(Daegu Holy Mother's Shrine)의 역사와 순례 후기 대구 성모당에 대하여 이야기를 하자면 반드시 "안세화" 플로리안 드망즈 주교님을 언급해야 합니다. 안세화(플로리안 드망드 주교, 이하 "안세화" 주교로 호칭하겠습니다.) 주교님은 프랑스 알자스 출생으로서 파리외방전교회에 입회하여 1898년 6월 26일에 사제 서품을 받고 같은 해 10월 6일부터 한국에서 사목 하셨습니다. 1911년 4월 8일 대구 대목구 설정과 더불어 초대 교구장으로 임명되어 1911년 6월 11일 주교품을 받으셨습니다.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마리아(무염시태 성모)를 교구의 주보로 모시고 "Confide et Labora(믿고 일하라.)"라는 지표 아래 영남과 호남 및 제주 지방을 사목 하시면서.. 2025. 8. 30. 이전 1 2 3 4 ··· 1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