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95

(여자 세례명) 성녀 마더 데레사 (축일 ; 9월 5일) 1910년 8월 27일에 지금의 마케도니아 공화국 스코페에서 태어난 마더 데레사는 처음에는 곤히아 아녜스라는 세례명을 받았습니다.어려서부터 선교사를 하겠다는 목표의식을 가지다가 드디어 1928년 인도에서 선교활동으로 잘 알려진 아일랜드 더블린의 로레토 수녀원에 입회하여 이듬해 인도로 파견되었습니다.그리고 '선교의 수호자'로 선포된 프랑스 리지외의 성녀 데레사(소화데레사) 이름을 자신의 수도명으로 선택하였습니다. 교육사업에 전념하는 18년 동안, 인도의 비참한 빈민들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커지는데, 1946년 인도 다즐링으로 피정하러 가던 기차에서 "가난에 시달리는 사람들 속에 살며 그들에게 봉사해야 한다."는 소명을 듣는 놀라운 체험을 하게 됩니다. 데레사 성녀는 1950년 사랑의 선교 수녀회를 창설하였.. 2024. 8. 13.
(여자 세례명 추천) 소화 데레사 성녀 (축일 ; 10월 1일) 아기예수의 성녀 소화(小花) 데레사 (축일 ; 10월 1일) 테레사 성녀는 프랑스 북서부 바스-노르망디(Basse-Normandie)의 알랑송(Alencon)에서 시계 제조업을 하던 루이 마르탱(Louis Martin)과 젤리 게랭(Zelie Guerin)의 아홉 자녀 중 막내딸로 태어났습니다.성녀 테레사(Teresia, 또는 데레사)의 원래 이름은 마리 프랑스와즈 테레즈 마르탱(Marie Francoise Martin)이었습니다.성녀를 지칭할 때, 세례명으로 언급할 때 주로 ‘소화(小花)데레사’라고 많이 부릅니다.그녀는 4살이 되기도 전에 어머니를 여의었고, 아버지와 함께 오빠가 사는 리지외로 이사를 갔습니다.성녀는 어린 시절부터 성모 마리아 공경에 진지한 삶을 살기 시작하였습니다.7살 때부터 고해성사.. 2024. 8. 13.
(남자 세례명) 성(聖) 모세 (축일 ; 9월 4일) 성 모세 (St. Moyses)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에서 탈출할 당시 백성의 지도자, 예언자, 율법의 중개자였습니다. 모세는 레위 지파에 속하였던 아므람과 요케벳 사이에서 태어나서 이집트의 모든 교육을 받고 자랐습니다. 어느 날 동족 히브리 사람을 무자비하게 때리는 이집트인을 죽이고는 미디안 땅으로 도망갔다가 르우엘의 딸 치포라라는 여인과 결혼하여, 두 아들을 낳았습니다. 모세는 양 떼를 치는 목자 생활을 하다가 하느님의 부르심을 받게 됩니다. 팔십이 되었을 때 시나이산에서 하느님으로부터 이스라엘을 해방시킬 사명을 받고 형 아론과 함께 그 사명을 완수하였습니다.가나안 땅까지 가는 40년 동안 시나이 산에서 하느님으로부터 십계명 판을 받아 이스라엘 백성과 계약을 맺게 하고 이 백성에게 파스카를 .. 2024. 8. 12.
서울 왕십리성당 (+미사 시간 안내) 서울 왕십리(往十里)라는 지역은 조선 초에 무학대사가 도읍을 정하려고 이곳까지 와서 도선대사의 변신인 어느 늙은 농부로부터 '10리를 더 가라'는 가르침을 받았다고 전하는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습니다. 왕십리성당은 1959년 11월에 신당동성당을 모본당으로 하여 설립한 본당 공동체입니다. 담벼락을 따라 십자가의 길이 조성되어서 더욱 차분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서울 왕십리성당 기본정보, 미사 시간 (2024년 8월 12일 기준)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무학로 10길 21 (홍익동) (우편번호 ; 04708)사무실 전화번호 ; 02-2292-7853주임신부 ; 우대근 요셉 신부님보좌신부 ; 김기원 시몬 신부님주보성인 ; 예수 성심관할구역 ; 홍익동, 도선동, 상왕십리동, 하왕십리동, 마장동 및.. 2024. 8.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