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94 (여자 세례명 추천) 모니카 성녀 (축일 ; 8월 27일) 성녀 모니카 (Sta. Monica) 활동 시기, 장소 ; 서기 331~397년, 아프리카 & 이탈리아수호성인 ; 어머니, 여인들, 가톨릭 여성 단체축일 ; 8월 27일 성녀 모니카는 북아프리카의 타가스테에서 태어나서 충실한 그리스도교 신앙교육을 받으며 성장하였습니다.성장하여 결혼을 하였지만 매서운(!?) 시집살이를 하였습니다. 시어머니가 까다로운 성격이었고 남편도 한량 성격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모니카 성녀는 워낙 선량하고 배려심이 많은 성격이라서 시어머니와 남편이 세례를 받고 그리스도인으로 거듭나도록 도와줍니다. 모니카 성녀는 가톨릭의 4대 교부 중 한 분인 성 아우구스티누스(아우구스티노)의 모친입니다. 아들에 대한 사랑이 극진했던 모니카 성녀는 마니교에 빠져있던 아들 아우구스티노의 회개와 개종을.. 2024. 7. 26. (남자 세례명 추천) 성 바르톨로메오 사도 (축일 ; 8월 24일) 성 바르톨로메오 사도 (St. Bartholomaeus, Ap.) 활동 시기와 장소 ; 1세기 경 팔레스티나수호성인 ; 정육점, 양복점축일 ; 8월 24일상징 ; 칼, 사람 피부 (위 사진은 수원 정자동 주교좌성당에 있는 성 바르톨로메오(St. Bartolomeo) 사도를 그려낸 부조 작품입니다.) 바르톨로메오 사도는 예수님의 열두 제자 가운데 한 분으로서, 갈릴레아 카나 출신입니다. 필립보 사도가 인도하여 예수님의 제자가 된 나타니엘과 동일 인물로 보고 있습니다. (요한 복음 1장 45~51절 참고.) 바르톨로메오라는 이름은 시리아어에서 유래하였다고 합니다. '높은 곳에 있는 물을 붙잡은 사람의 아들'이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예수님께서는 그를 참된 이스라엘 사람이라고 칭찬하셨습니다. "보라, 저 사람.. 2024. 7. 26. (남자 세례명 추천) 성 아우구스티노 (축일 ; 8월 28일) 성 아우구스티누스(아우구스티노, 아오스딩) (St. Augustinus) 활동 시기와 장소 ; 354~430년. 아프리카, 이탈리아수호성인 ; 인쇄업자, 신학자축일 ; 8월 28일 (위 사진은 서울 마천동성당의 주보성인이신 아우구스티노 성인의 조각상입니다.) 아우구스티노 성인은 로마 관리인 부친 파트리키우스와 그리스도인인 모친 성녀 모니카의 아들로 354년 11월 13일 아프리카 타가스테(현 알제리 북쪽의 수크아라스)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릴 때부터 어머니인 모니카 성녀를 통하여 그리스도교 교육을 받고 성장하였습니다. 370년에는 법조인이 되기 위한 목표로 카르타고의 대학교에 들어갔습니다. 그는 공부를 마치고 변호사는 되지 않았고 교사생활을 하였으나 철학에 흥미를 갖다가 존재 문제 등에 몰두하다가 마니교.. 2024. 7. 26. (천주교 교리) 천주교회 4대 교리, 삼위일체 신앙 천주교 4대 교리 천주 존재 (天主存在) 하느님은 만물이 있기 전부터 언제나 계시고, 모든 만물을 창조하신 무한하신 분이십니다. 상선벌악 (賞善罰惡) 하느님께서는 선한 일을 행한 사람들이 죽은 후에는 상을 주시고, 악한 일을 행한 사람이 죽은 후에는 벌을 끝없이 주신다는 교리입니다. 삼위일체(三位一體) 성부, 성자, 성령의 성삼위께서 한 분이신 하느님이라는 뜻으로, 성삼위는 서로 구별되면서도 동시에 한 신성(神性)을 이룹니다. 이 교리는 하느님께서 계시로 가르쳐 주신 것으로서 그대로 믿어야 합니다. 강생구속(降生救贖) 처음에 아담과 하와가 죄를 범한 후 모든 사람은 원죄로 인하여 천국에 들어가지 못하게 되었으나, 예수님께서 이 모든 죄를 없애기 위하여 사람이 되시어 십자가상에서 죽으심으로써 구원사업을 완.. 2024. 7. 26. 이전 1 ··· 79 80 81 82 83 84 85 ··· 17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