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9월 20일 축일 성인 남자 세례명 추천5

(남자 세례명) 성 앵베르 범세형(笵世亨) 라우렌시오 주교 (축일 ; 9월 20일) 조선교구 2대 주교로서 순교한 성 앵베르 주교 (축일 ; 9월 20일) 성 앵베르 범세형 라우렌시오 주교의 본명은 성 로랑 조제프 마리위스 앵베르(Laurent Joseph Marius Imbert)였습니다.한국 이름은 범세형(笵世亨)이었습니다.앵베르 주교는 1796년 3월 23일 프랑스 마리냥의 가난한 농촌 가정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1818년 파리 외방전교회의 신학교에서 공부하였습니다. 천주교 조선교구 초대 주교 브뤼기에르가 조선 입국을 앞두고 갑자기 선종하자, 1836년 4월 26일 앵베르는 천주교 조선교구 2대 교구장과 카프사(Capsa)의 명의주교로 임명되었습니다. 1837년 5월 14일 그는 만주를 통하여 천주교 박해가 행해지던 조선으로 잠입하였습니다. 몰래 천주교의 전도 활동과 교세 확장.. 2025. 2. 7.
(남자 세례명) 성 조신철 가롤로 (축일 ; 9월 20일) 성 조신철 가롤로 (1796~1839) (축일 ; 9월 20일) 조신철 가롤로 성인은 조선시대 신분상 ‘하인’으로 분류되는 마부이었습니다.그 당시에 비천한 지위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편견 없이 대해 준 주인 성 유진길 아우구스티노에 의해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였고, 누구보다도 적극적으로 한국 천주교회를 위하여 헌신하였습니다. 성 조신철은 강원도 화양에 살던 외교인 집안에서 태어났다.다섯 살 때 어머니를 여의고 얼마 안 되는 가산은 아버지가 탕진해 앞길이 캄캄했던 소년 조신철은 집을 떠나 절에 들어가 머리를 깎고 스님들과 같이 몇 해를 지냈습니다.그 후 환속하여 서소문 밖에서 이집 저집 다니며 머슴살이로 생계를 이어나갔습니다. 그러다 23세 때 매년 동짓달 중국으로 파견되는 사절단(동지사)의 종인 마부(馬夫).. 2024. 9. 20.
(남자 세례명 추천) 성 유대철 베드로 (축일 ; 9월 20일) 성 유대철 베드로 (1826 ~1839) 성 유대철 베드로는 103위 한국 순교 성진 중에서 13세의 가장 나이 어린 성인(聖人)입니다. 역관인 아버지 성 유진길 아우구스티노의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1839년 기해박해 때 부친이 먼저 투옥되어 서소문 밖에서 순교 후 스스로 천주교 신자임을 밝히고 투옥되었습니다. 어린 나이에 모진 문초와 회유를 뿌리치고 신앙을 증거하였으며, 혹독한 형벌을 가한 사실이 드러날까 두려워한 박해자들에 의해 공개처형 대신 감옥 안에서 목 졸려 순교하였습니다. 유대철 베드로 성인으로 주보성인으로 하는 성당이 많습니다.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담대하게 신앙을 고백한 기백 때문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유대철 베드로 성인의 순교 이야기를 알게되면서 갑자기 로마서 8장 35절, .. 2024. 8. 18.
(세례명 추천) 성 황석두 루카 (축일 ; 9월 20일) 성 황석두(黃錫斗) 루카 (축일 ; 9월 20일) (위 사진은 대전 송촌동성당에 있는 성 황석두 루카 동상입니다.) 한국 103위 순교성인 중 한 분이신 황석두 루카 성인은 1813년 충북 연풍(지금의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에서 태어났고 1866년 3 월 30일 충청남도 보령 갈매못에서 군문효수로 순교하였습니다. 1968년 10월 6일 시복되었고, 1984년 5월 6일에 성인으로 시성되었습니다. 황석두 루카 성인은 일명 황재건이라 불리며 충청북도 연풍에서 양반집 자제로 태어났습니다. 부친의 바람대로 과거를 보러 상경하던 중 천주교인 글방 선생님이 전해 준 성교회 책을 통해 하느님을 알게 되어 1837년에 입교하게 되었습니다. 이 당시는 천주교인들이 박해를 받던 때이므로 부친은 화를 당하게 될까봐 두려.. 2024. 7.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