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천주교 성인, 성녀, 복자, 세례명115 성 마르첼리노 (축일 ; 4월 26일) 성 마르첼리노 (St. Marcellinus, 축일 ; 4월 26일) 마르첼리노 성인은 296년에 교황 성 카이우스(축일 ; 4월 22일)를 계승한 교황이었습니다. 이 분에 대한 기록이 많지 않습니다.303년 로마에서 시작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그리스도교 박해 시절에 8년 동안 재임하였고, '로마 순교록'에 의하면 박해 때 로마에서 그리스도 신앙 때문에 참수형으로 순교하였다고 합니다. 2025. 4. 16. (남자 세례명) 성 안셀모 (축일 ; 4월 21일) 성 안셀모 (St. Anselmus de Cantebury, 1034 ~ 1109, 축일 ; 4월 21일) 중세유럽의 대학자로서 칭송받는 성 안셀모는 이탈리아 비에몬드 주 아오스타 시에서 1033년에 태어났습니다.10대 때에는 방탕한 생활을 하기도 하였지만 이후 반성하고, 학식이 깊기로 유명하였던 랑프랑크 신부가 수도원장으로 있던 노르망디 주 베크 수도원에 입회하였습니다.1060년에야 수도자가 되고, 3년 후에는 원장으로 선출되었습니다. 깊은 학식과 성덕으로 존경을 받게 된 안셀모 성인은 1093년에는 영국 켄터베리 대주교로 임명되었지만 오히려 영국 왕가의 탄압을 받기도 하였습니다. 하였지만 윌리암 2세왕과의 곡절이 있었습니다. 우르바노 1세 교황의 요청으로 바리 공의회에서 동방교회와의 논쟁에 큰 몫을 .. 2025. 4. 14. (남자 세례명) 성 앵베르 범세형(笵世亨) 라우렌시오 주교 (축일 ; 9월 20일) 조선교구 2대 주교로서 순교한 성 앵베르 주교 (축일 ; 9월 20일) 성 앵베르 범세형 라우렌시오 주교의 본명은 성 로랑 조제프 마리위스 앵베르(Laurent Joseph Marius Imbert)였습니다.한국 이름은 범세형(笵世亨)이었습니다.앵베르 주교는 1796년 3월 23일 프랑스 마리냥의 가난한 농촌 가정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1818년 파리 외방전교회의 신학교에서 공부하였습니다. 천주교 조선교구 초대 주교 브뤼기에르가 조선 입국을 앞두고 갑자기 선종하자, 1836년 4월 26일 앵베르는 천주교 조선교구 2대 교구장과 카프사(Capsa)의 명의주교로 임명되었습니다. 1837년 5월 14일 그는 만주를 통하여 천주교 박해가 행해지던 조선으로 잠입하였습니다. 몰래 천주교의 전도 활동과 교세 확장.. 2025. 2. 7. 바뇌(Banneux)의 성모 발현 바뇌는 루르드, 파티마와 더불어 세계 3대 성모 발현지로 알려져 있습니다.1933년, "가난한 이의 동정녀" 발현이 바뇌(Banneux)에서 있었습니다.1933년 1월 15일부터 3월 2일 사이에 성모 마리아는 '가난한 이들의 동정녀'로 바뇌에 사는 마리에뜨(그 당시 12세)에게 8번 나타나시었습니다.위 사진처럼 고개를 약간 왼쪽으로 기울인 채 합장한 두 손을 가슴에 얹은 모습이었다고 합니다.당신을 철저히 신뢰할 것을 바라시며 루르드처럼 샘터를 지적해 주시고, 우리를 위하여 전구하시겠다는 말씀을 남기셨습니다. 바뇌는 벨기에 뤼베네 소속 아르엔느 고원 325미터에 위치한 작은 마을입니다.성모 마리아가 발현하신 광경을 목격한 사람은 당시 12세이던 마리에뜨 베코(Mariette Baco)였습니다.마리에뜨는 .. 2025. 2. 6. 이전 1 2 3 4 5 ··· 2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