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산정동성당은 광주대교구 최초의 본당, 대한민국 레지오 마리애 태동지, 6.25.사변 순교 등 깊은 역사를 간직하고 있습니다.
한국 천주교 성지순례 책 목록에 있는 모든 성지를 가고 싶지만 목포 산정동성지성당에 먼저 가보고 싶었습니다.
유달산 등산을 하면서 산과 바다의 멋진 풍경을 만끽하고 싶었고 이와 더불어 산정동성당이 이런저런 의미가 깊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서 지적 호기심이 들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산정동성당은 지난 2025년 4월 6일 사순 제5주일을 맞이하여 다녀왔습니다.
성지 입구에 있는 벚나무 꽃이 많이 피어서 참 좋았습니다. 활짝 핀 하얀 벚꽃에 햇빛이 반사해서 더욱 아름다웠습니다.
산정동성당은 목포역에서 비교적 가깝습니다. 오전 일찍 호남선 KTX를 타고 오른편 창문을 바라보니 멀리 산정동성당의 거대한 쌍둥이 종탑이 보이더군요.
1896년 11월에 조선교구 제8대 교구장 뮈텔 주교가 전라도 지역을 사목방문하면서 목포본당(현재 산정동 준대성전) 신설을 결정하고, 1897년 5월 8일 초대 주임사제로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 조유도(드예, Albert Deshayes) 신부님이 사목을 시작하였습니다.
목포 개항과 더불어 전라남도 지역의 최초의 어머니 본당이 된 목포본당은 전라남도 지역은 물론 제주도 지역까지 초기 교회의 구심점으로 역할을 하게 됩니다.
1933년 아일랜드 성 골롬반외방선교회가 이 땅에 파견되어 광주교구 설정을 준비하고, 1937년 4월 13일 대구대목구로부터 지목구(교구에 준하는 개별 교회)로 설정된 목포본당은 초대 지목구장으로 임 오웬 신부가 임명되고, 교구청은 목포시 산정동 97번지로 정하였습니다. (현재 역사박물관 건물입니다.)
목포 산정동성당은 아픈 역사들도 있습니다.
일제 강점기에는 모 파트리치오 주임신부와 임 오웬 몬시뇰 교구장이 체포, 감금, 투옥되었으며 본당과 교구청은 일본군 사령부로 징발되었습니다.
6.25.한국전쟁 때에도 인민군 막사로 징발되었습니다. 미 공군이 성당 건물은 가급적 폭격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역이용한 것이었지요.
정말 안타까운 것은 목자로서 의무를 다하기 위하여 남아계셨던 세 분의 사제가 체포되었습니다.
당시 광주교구 제4대 교구장인 미국인 패트릭 브레넌 몬시뇰, 목포본당 주임 아일랜드인 토머스 쿠삭 신부, 존 오브라이언 보좌신부는 공산군에 체포되어 온갖 수모와 고통을 받았습니다.
이틀간 맨발로 시내와 유달산을 끌려다니다가 세 분의 사제는 사목지인 목포본당을 떠나 광주교도소에 수감되어 학대와 굶주림에 시달리다가 북으로 끌려가던 중, 1950년 9월 24일 대전 목동 성 프란치스코 수도원과 목동성당 자리에서 피살되어 순교하였습니다.
이 세 분의 사제와 전기수 그레고리오, 고광규 베드로 신학생은 근현대 신앙의 거룩한 증인으로서 홍용호 프란치스코 보르지아 주교와 동료 80위 명단에 포함되어 시복 청원중입니다.
1953년 레지오마리애가 광주교구 제5대 교구장인 하롤드 헨리 신부에 의해 도입되어 목포 산정동성당은 대한민국 레지오마리애의 본향 내지 고향과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목포 산정동성당은 준대성전으로서 품격을 지니고, 특별한 보물들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목포 산정동성당은 준대성전(Basilica Minor) 칭호를 받고 있습니다.
준대성전이란 역사적, 예술적, 신앙적인 면에서 그 중요성이 널리 인정되는 성당에 붙여진 명예로운 칭호로서 교황님에 의하여 그 특전이 부여됩니다.
산정동 순교자 기념성당은 대한민국 첫 번째 준대성전입니다.
준대성전에서 특전이 있는데, 정해진 날들에 준대성전을 경건하게 방문하여 그곳에서 거룩한 예식에 참여하거나, 적어도 주님의 기도와 사도신경을 바치는 신자들은 전대사의 통상 조건(고해성사, 영성체, 교황의 듯에 따른 기도)을 갖추게 되면 전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정해진 날들"이 언제인가 하는 의문점이 들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습니다.
1. 준대성전의 봉헌 주년(그리스도왕) 대축일 ; 11월 중
2. 준대성전의 주보(성 십자가 현양) 대축일 ; 9월 14일
3.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 6월 29일
4. 준대성전 칭호 부여(프란치스코 교황) 주년 기념일 ; 5월 10일
5. 한 해에 한 번 교구 직권자가 지정한 날
6. 한 해에 한 번 신자 각자가 자유롭게 선택한 날
산정동성당은 성전 안과 밖에 아름다운 교회 미술작품들과 성물들이 많이 있습니다.
위 사진은 산정동성당 대성전 내부 사진입니다.
제단을 기준으로 독서대 바로 왼편에 성녀 소화데레사 성해가 모셔져 있고, 오른편을 보시면 감실 바로 우측에는 소화데레사 성녀의 부모님이신 루이 마르땡 성인과 아젤리 게렝 마르땡 성녀의 성해가 모셔져 있습니다.
제단에는, 예수님을 못박은 십자가의 나무조각으로 전해지는 성물이 모셔져 있습니다. 바로 위 사진입니다.
성 십자가 보목은 2천년 전 예수 그리스도께서 못 박히시고 매달려 숨을 거두신 십자 나무의 조각입니다.
이 십자가 보목은 1963년 바티칸 교황청에 근무하시던 멕시코 대주교님이 대한민국 선교를 위하여 대한민국으로 향하는 선교사들을 격려하는 의미를 담아서 멕시코 과달루페 외방선교회 초대 총장인 알폰소 에스칼란테 주교에게 전달하였으며, 보목은 1973년부터 대한민국에서 선교활동을 하고 있던 원 핵톨 신부에게 전달돼 보관되어오다가 50여년의 한국 선교를 결실있게 마치고 본국으로 돌아가기 전에 2018년 그 당시 광주대교구 교구장이었던 김희중 히지노 대주교님에게 전달되어 산정동 기념성당에 안치되게 된 것입니다.
미사를 마치고 성 십자가 보목이 모셔진 제단 앞에서 무릎을 꿇고 잠시 기도를 드렸습니다.
사진에는 안 보이지만 순례자들이 무릎을 꿇고 기도할 수 있도록 배려한 공간이 있습니다.
다른 순례자 분들을 배려해야 하기에 오래 기도를 드릴 수 없었고, 짧지만 정말 성심을 다해서 기도를 드린 기억이 납니다.
2025년 사순시기에 기억에 남을 것 같습니다.
산정동성당 성전에는 많은 스테인드글라스가 있습니다.
성전 안 왼편에는 주로 구약성경 내용들로 그려진 유리화들이 있었습니다. 위 사진은 "요나의 회개"를 주제로 한 유리화입니다.
구약성경 요나서 2장 1 ~ 11절 내용입니다. 요나 예언자가 회개를 하자 하느님의 명령으로 물고기가 육지로 요나 성인을 뱉어내는 장면을 그린 스테인드글라스 작품입니다.
성전 안 오른편에는 주로 신약성경 내용들로 그려진 유리화들이 있습니다.
위 사진은 "카나의 혼인잔치"를 표현한 스테인드글라스입니다.
그리고 파이프오르간의 음색이 너무나도 좋았습니다.
프랑스 유명 파이프오르간 제작자인 미셀 쥬린 박사가 제작한 파이프오르간이라고 합니다.
파이프오르간의 왼편에는 심순화 카타리나 작가님께서 그리신 성모자상 그림이 있었습니다.
제가 심순화 카타리나 작가님의 성화를 참 좋아합니다.
우리 한국인의 정서와 천주교 신앙을 잘 조화시켜서 제 기억에 남는 작품이었습니다.
목포 산정동성당 기본정보, 미사 시간
(2025년 4월 19일 기준)
주소 ; 전라남도 목포시 노송길 35 (산정동) (우편번호 ; 58712)
사무실 전화번호 ; 061-274-1004
주임신부 ; 정윤수 프란치스코 신부님
주보성인 ; 성 십자가 현양
설립일 ; 1897년 5월 8일
광주대교구 구(舊) 교구청 現 가톨릭목포성지 역사박물관
관람시간 ; 화요일 ~ 일요일 10:00 ~ 17:00 (점심시간 12:30 ~ 13:30입니다.)
휴관일 ; 월요일
전화번호 ; 061-276-8300
목포 산정동성당 미사 시간
주일 ; 11:00(교중미사)
월요일 ; 6:30
화요일 ; 11:00
수요일 ; 11:00
목요일 ; 11:00
금요일 ; 11:00
토요일 ; 11:00(후원회미사) / 17:00(특전미사)
(목포 산정동성당은 성지미사와 본당미사가 분리되어 있지 않고 통합되어서 미사를 드리고 있습니다.)
(미사 시간은 본당 사정에 따라 갑자기 변경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 미사, 주님 부활 대축일 미사, 성모 승천 대축일 미사, 주님 성탄 대축일 미사(크리스마스 미사), 설날 & 추석 미사 또한 성당마다 매년 달라질 수 있으니 미사를 가기 전에 해당 성당 사무실에 전화 문의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광주대교구 목포 산정동성당 상설고해소 장소와 시간
수요일 ~ 토요일, 주일 ; 오전 10시 ~ 정오 12시
화요일 ~ 토요일 ; 오후 2시 ~ 오후 4시
월요일 ; 상설고해 없음
장소 ; 산정동성당 대성전 또는 소성전 (사무실에 미리 전화(061-274-1004)를 하시고 상설고해 가시기를 당부드립니다.)
목포 산정동성당 역대 주임사제, 출신 사제
목포 산정동성당 역대 주임신부
초대 ; 조유도 (알벡디도) 신부님 (본명 ; 데예) (1897.5.8. ~
2대 ; 여동선 신부님 (1909년 5월 ~ 1912년 5월)
3대 ; 송덕망 신부님 (1912년 5월 ~ 1914년 5월)
4대 ; 간홍모 신부님 (1914.5.3. ~ 1914년 10월)
5대 ; 엄택기 신부님 (1915.6.7. ~ 1922.9.23.)
6대 ; 주재용 바오로 신부님 (1922.9.24. ~ 1931.5.9.)
7대 ; 송남호 요셉 신부님 (1931.5.10. ~ 1934.3.7.)
8대 ; 모 파트리치오 신부님 (1934.3.8. ~ 1941.12.8.)
9대 ; 김재석 요셉 신부님 (1942년 봄 ~ 1943년 7월)
10대 ; 박문규 미카엘 신부님 (1943년 여름 ~ 1944년 12월)
11대 ; 최덕홍 요한 신부님 (1944년 가을 ~ 1948년 12월 30일)
12대 ; 김재석 요셉 신부님 (1949년 2월 ~ 1949년 가을)
13대 ; 고 토마스 신부님 (1949년 가을 ~ 1950년 7월 24일)
14대 ; 안 토마스 신부님 (1950년 10월 ~ 1953.11.4.)
15대 ; 손 파트리치오 신부님 (1953년 11월 ~ 1954년 4월)
16대 ; 원 요한 신부님 (1954.4.20. ~ 1956년 10월)
17대 ; 도 요한 신부님 (1956년 10월 ~ 1960년 4월)
18대 ; 유 그레고리오 신부님 (1960년 4월 ~ 1961년 8월)
19대 ; 모 미카엘 신부님 (1961년 8월 ~ 1964.11.16.)
20대 ; 진 요한 신부님 (1964.11.17. ~ 1969.9.2.)
21대 ; 차 카롤로 신부님 (1969.9.3. ~ 1972.6.14.)
22대 ; 모 요한 신부님 (1972.6.15. ~ 1974.3.16.)
23대 ; 노 야고보 신부님 (1974.3.17. ~ 1978.3.27.)
24대 ; 이재홍 힐라리오 신부님 (1978.3.26. ~ 1983.2.6.)
25대 ; 박영웅 가브리엘 신부님 (1983.2.27. ~ 1987.2.8.)
26대 ; 김성용 프란치스코 신부님 (1987.2.9. ~ 1991.2.6.)
27대 ; 이재휘 시메온 신부님 (1991.2.7. ~ 1993.2.9.)
28대 ; 김양회 요한보스코 신부님 (1993.2.10. ~ 1998.2.2.)
29대 ; 박성열 토마스 신부님 (1998.2.3. ~ 2001.2.13.)
30대 ; 이현민 가밀로 신부님 (2001.2.14. ~ 2004.9.6.)
31대 ; 조정훈 안토니오 신부님 (2004.9.6. ~ 2009.8.26.)
32대 ; 장민휘 베네딕토 신부님 (2009.8.27. ~ 2012.8.28.)
33대 ; 박철수 가브리엘 신부님 (2012.8.29. ~ 2015.9.2.)
34대 ; 이정화 가비노 신부님 (2015.9.3. ~ 2023.1.17.)
35대 ; 정윤수 프란치스코 신부님 (2023.1.18. ~
목포 산정동성당 출신 신부
(빠진 자료는 다음에 추가하겠습니다. 죄송합니다.)
장옥석 루치오 신부님 (1944년 서품)
김정용 안토니오 신부님 (1952년 서품)
김용배 안드레아 신부님 (1962년 서품)
백용수 마태오 신부님 (1966년 서품)
김무융 율리오 신부님, 장용복 미카엘 신부님 (1971년 서품)
장용주 알베르토 신부님 (1979년 서품)
이종희 사도요한 신부님 (1980년 서품)
이경철 안드레아 신부님 (1983년 서품)
김일두 베드로 신부님 (2005년 서품)
박휘영 사무엘 신부님 (2025년 서품)
순교확인도장은 산정동성당으로 올라가기 전에 성모동산 왼편에 한 군데 있고, 한국 레지오 마리애 기념관 정문 오른편에도 있습니다.
저는 레지오마리애기념관 앞에 있는 스탬프가 더 멋져보이기에 그것으로 찍었습니다.
(제 티스토리 블로그에 있는 성당, 천주교 성지와 관련된 모든 사진들은 저의 소중한 시간과 돈을 투자하여 제가 직접 가서 찍은 사진입니다.
다른 사람이 각종 블로그, 홈페이지, 기타 모든 SNS에 무단으로 올리는 것은 허락하지 않습니다.)
'한국 천주교 성지순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교구 김기량 순교 기념관 천주교 성지 순례 (0) | 2025.03.06 |
---|---|
제주교구 관덕정 순교 성지 순례 (+미사 시간 안내) (0) | 2025.03.05 |
제주교구 황사평 천주교 성지순례 (0) | 2025.03.04 |
칠곡 가실성당 한여름은 배롱나무 꽃이 매우 아름답습니다. (0) | 2024.12.21 |
답동 주교좌성당은 아름다운 겉모습과 성전 안 예쁜 유리화를 가진 성당입니다. (+미사 시간 안내) (0) | 2024.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