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천주교 성지순례

부드러운 남성미가 느껴지는 멋진 성당 ; 홍천성당의 역사, 특징, 미사 시간

by 미남의 전설 2025. 7. 8.
반응형

홍천성당
홍천성당

 

춘천교구 홍천성당의 역사와 건축상의 특징

 

홍천본당의 시작은 결운리 옹기골에서 처음 신앙공동체가 형성되고, 송정리로 확대되어 송정공소를 이룸으로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다가 1923년 6월 21일에 송정공소에서 홍천본당으로 승격되었습니다.

현재, 죽림동 주교좌 본당의 전신인 곰실본당에서, 송정공소가 분할되어 본당으로 승격된 것이지요.

 

초대주임 사제 황정수 요셉 신부와 교우들의 모범적인 삶으로 교세가 점차 확장되어 1936년에 홍천 읍내로 이동하였습니다.

 

1939년 춘천교구가 설정되면서, 홍천본당의 관할교구가 그 당시 경성교구에서 춘천교구로 이전되었습니다.

이때부터 춘천교구를 담당하던 성 골롬반 외방선교회의 사제들이 홍천본당에 파견됩니다.

 

외국인 선교사들이 열정적으로 사목을 시작했으나, 당시에는 일제가 태평양전쟁을 준비하며, 철저한 통제정책을 시행하던 때였으므로, 외국인 사제들의 선교활동이 중지되었습니다.

심지어, 본국으로 추방당하고, 연금상태에 놓이는 등 큰 어려움에 봉착하였습니다.

 

1945년 해방을 맞이하였지만, 1950년 6월 25일에 한국동란이 발발하여, 교회도 다시 공산 치하의 혹독한 수난에 처합니다.

특히, 홍천본당과 불가분의 관계였던 착한 목자, 조선희 필립보(Philip Crosbie, 호주 출신의 성 골롬반 외방선교회 사제) 신부님은 이른바 '죽음의 행진'으로 불리는 고난의 길을 걸으며 고초를 겪기도 하였습니다.

또 다른 안타까운 일은 전쟁으로 인하여 목조건물 성당이 불에 타 전소되기에 이르렀습니다.

 

한국동란이 끝나고, 성당건물 건립 준비를 하게 되었습니다.

1955년 4월 최동오 아타나시오 신부님과 조선희 필립보 신부님, 여러 교우들의 헌신적인 노력, 한국군, 주한미군 등의 협조로 현재의 아름다운 성전이 완공되어 성전축성을 하였습니다.

 

레지오 마리애 신심활동단체 도입에 있어, 홍천성당은 춘천교구에서 원조 위치에 있습니다.

성 골롬반 외방선교회 조선희 필립보 신부는 레지오 마리에의 필요성을 느끼고, 레지오 마리에 전파를 목적으로 파견된 맥(Aidan McGrath) 신부를 초청하였습니다.

맥 신부에게 레지오 마리애 교육을 직접 배워, 본인이 직접 지도신부의 역할을 맡았습니다.

1954년 11월 1일, 여성 신자들을 중심으로 '무염시태' 쁘레시디움을 창단하였습니다. 이 쁘레시디움은 춘천교구에서 처음으로 설립된 레지오 마리에였습니다.

 

홍천성당
홍천성당


홍천성당은 파란 기와와 석탑 같은 종탑을 이고 있는 모습이 매우 독특합니다.

맑은 하늘과 성당 지붕 파란 지붕이 그러데이션 기법을 쓴 것처럼 잘 어울리네요.

 

성당 건물이 예쁘기보다는 듬직하면서도 부드러운 남성미를 간직한 남자 같은 느낌이었습니다.

 

그리고 성당 마당이 초등학교 운동장처럼 상당히 넓었습니다. 시원시원한 기분이었습니다.

 

홍천성당 제대, 제단, 십자고상, 스테인드글라스, 마루 사진입니다.
홍천성당 제대, 제단, 십자고상, 스테인드글라스, 마루 사진입니다.

 

홍천성당은 건축면에서 특이한 면이 있습니다.

 

하나는 마룻바닥 내면이 통풍이 잘 되도록 새끼줄을 통째로 넣어 설치하였습니다.

나왕나무로 바닥을 만들었다고 하는데 70년이 지난 2025년에 보아도 세월의 흔적이 아름답게 어우러진 쌩쌩한 모습이었습니다.

 

다른 하나는 건축의 벽면을 금속으로 연결시키지 않고 돌과 돌들에 구멍을 뚫어 돌벽을 설치하였고, 사용자가 적합하게 사용하도록 배려하였습니다.

 

내부는 열주 없이 하나의 강당처럼 형성하는 등 우리나라 1950년대 석조 성당 건축의 모습을 잘 보여줍니다.

 

스테인드글라스는 유리창에 성화를 입히기보다는 우리 민족 전통 조각보를 재해석하였습니다. 세련되고 우아한 기품이 느껴지는 유리화였습니다.

 

홍천성당 종탑
홍천성당 종탑

 

종탑을 보니까 뜬금없이 경주 분황사지석탑이 생각났습니다. 이유는 모르겠지만 갑자기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조선희 필립보 신부는 프랑스 항구도시 마르세유에서 종을 구입하여, 종에다 조선희 필립보 신부의 이름인 'Crosbie Philip'라고 새기게 요청한 후 화물 편으로 운송하게 하여, 성당 4층의 고딕식 종탑에 설치하였습니다.

 

그동안 수동 인력으로 타종해 오다가 최근에는 자동 시스템으로 타종하기 시작하였다고 합니다.

매일 두 차례 정오 12시와 저녁 6시에 타종하고, 주일은 10시 반 교중미사 준비로 오전 10시에 타종을 한번 더 합니다.

 

홍천성당 십자가의 길 사진입니다.
홍천성당 십자가의 길 사진입니다.

 

성당 앞에서 바라보이는 마당에서 왼쪽 인조잔디밭에는 '십자가의 길' 성상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바로 위 사진인데요, 수난을 당하는 예수님을 성모님께서 묵묵히 끌어안으시는 모습 같아서 가슴 먹먹했습니다.

 

홍천군 홍천성당 기본정보, 미사 시간

(2025년 7월 8일 기준)

 

주소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홍천읍 마지기로 54 (희망리) (우편번호 ; 25123)

사무실 전화번호 ; 033-433-1026

주임신부 ; 문양기 다니엘 신부님

보좌신부 ; 박관욱 안토니오 신부님

주보성인 ; 원죄 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

설립일 ; 1923년 6월 21일

 

홍천성당의 주보성인, 원죄없이 잉태되신 성모님입니다.
홍천성당의 주보성인, 원죄없이 잉태되신 성모님입니다.

 

홍천군 홍천성당 미사 시간

 

주일 ; 8:00 / 10:30(교중미사) / 18:00(학생미사)

월요일 ; 6:00

화요일 ; 19:00

수요일 ; 10:30

목요일 ; 19:00

금요일 ; 10:30

토요일 ; 10:00(첫 번째 토요일 성모신심미사) / 19:00(특전미사)

 

(미사 시간은 본당 사정에 따라 갑자기 변경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각종 대축일 미사 또한 성당마다 매년 달라질 수 있으니 미사를 가기 전에 해당 성당 사무실에 전화 문의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제 티스토리 블로그에 있는 성당, 천주교 성지와 관련된 모든 사진들은 저의 소중한 시간을 써서 제가 직접 가서 찍은 것입니다.

다른 사람이 각종 인터넷 매체에 제가 찍은 사진을 무단으로 올리는 것을 금지합니다.)

 

홍천성당 역대 주임신부

 

초대 ; 황정수 요셉 신부님 (1923.6. ~ 1928.5.)

2대 ; 김경민 루수 신부님 (1933.1. ~

3대 ; 심재덕 말구 신부님 (1936.6. ~

4대 ; 김영식 베드로 신부님 (1938.5. ~

5대 ; 간 토마스 신부님 (1939.7. ~

6대 ; 지 벨라도 신부님 (1942.2. ~

7대 ; 진 야고보 신부님 (1945.8. ~

8대 ; 조선희 필립보 신부님 (1947.2. ~

9대 ; 최동오 아타나시오 신부님 (1950.9. ~

10대 ; 조선희 필립보 신부님 (1954.8. ~1961.8.)

11대 ; 장 마티아 신부님 (1961.8. ~ 1962.11.)

12대 ; 조선희 필립보 신부님 (1962.11. ~ 1968.8.)

13대 ; 전 고르넬리오 신부님 (1968.8. ~

14대 ; 김정식 토마스 신부님 (1972.4. ~

15대 ; 오상철 토마스아퀴나스 신부님 (1978.6. ~

16대 ; 이정행 사도요한 신부님 (1982.10. ~

17대 ; 맹석철 바오로 신부님 (1989.4. ~

18대 ; 황영택 사도요한 신부님 (1995.8. ~

19대 ; 임헌규 안셀모 신부님 (1996.2. ~

20대 ; 김재복 모세 신부님 (2000.8. ~

21대 ; 허동선 마태오 신부님 (2002.1. ~

22대 ; 여성재 브루노 신부님 (2005.8. ~

23대 ; 홍기선 히지노 신부님 (2008.9. ~

24대 ; 엄기주 요한크리소스토모 신부님 (2011.8. ~

25대 ; 이영주 타대오 신부님 (2015.8. ~

26대 ; 김학수 베드로 신부님 (2018.8. ~

27대 ; 김광근 도미니코 신부님 (2021.8. ~

28대 ; 배종호 토마스 신부님 (2022.9. ~

29대 ; 문양기 다니엘 신부님 (2022.10. ~

 

홍천성당 역대 보좌신부

 

초대; 허 프란치스코 신부님 (1940.1. ~

2대 ; 조선희 필립보 신부님 (1940.11. ~ 1941.12.)

3대 ; 공 토마스 신부님 (1948.2. ~

4대 ; 최동오 아타나시오 신부님 (1949.9. ~ 1950.9.)

5대 ; 로 베드로 신부님 (1954.8. ~

6대 ; 이재만 아니체도 신부님 (1954.12. ~1957.3.)

7대 ; 홍 야고보 신부님 (1957.4. ~

8대 ; 엄 제랄드 신부님 (1957.8. ~

9대 ; 기 바오로 신부님 (1958.6. ~

10대 ; 유 월터 신부님 (1959.12. ~

11대 ; 허 마우리시오 신부님 (1961.11. ~ 1963.10.)

12대 ; 더피 야고보 신부님 (1963.10.~

13대 ; 허 마우리시오 신부님 (1964.7. ~ 1965.5.)

14대 ; 함 브렌단 신부님 (1965.5. ~

15대 ; 함 에이든 신부님 (1966.9. ~ 

16대 ; 전 고르넬리오 신부님 (1967)

17대 ; 나 요한 신부님 (1968. ~ 1969.5.)

18대 ; 송성식 토마스 신부님 (1969.5. ~ 1970.10.)

19대 ; 계 브랜단 신부님 (1970.10. ~

20대 ; 백 바오로 신부님 (1971.5. ~ 1972.3.)

21대 ; 신오복 신부님 (1971.~1972.)

22대 ; 오상철 토마스아퀴나스 신부님 (1972.5. ~ 1974.1.)

23대 ; 이정행 사도요한 신부님 (1973.1. ~1973.3.)

24대 ; 김택산 요셉 신부님 (1974.1. ~ 1976.4.)

25대 ; 하화식 베드로 신부님 (1976.4. ~ 1976.8.)

26대 ; 이흥섭 라우렌시오 신부님 (1976.12. ~ 1978.5.)

27대 ; 하화식 베드로 신부님 (1978.6. ~ 1979.4.)

28대 ; 김현준 율리오 신부님 (1979.4. ~ 1980.9.)

29대 ; 배종호 토마스 신부님 (1981.3. ~ 1982.4.)

30대 ; 김명식 가브리엘 신부님 (1985.3. ~

31대 ; 문양기 다니엘 신부님 (1986.3. ~ 1988.5.)

32대 ; 김학수 베드로 신부님 (1989.3. ~ 1990.5.)

33대 ; 정기원 미카엘 신부님 (1991.8. ~ 

34대 ; 현광섭 프란치스코 신부님 (1993.5. ~

35대 ; 김길상 다니엘 신부님 (1995.8. ~

36대 ; 오세민 루도비코 신부님 (1996.8. ~

37대 ; 김동훈 라파엘 신부님 (1998.1. ~ 1999.8.)

38대 ; 권오준 베네딕토 루치아노 신부님 (2000.2. ~ 2002.1.)

39대 ; 최기홍 바르톨로메오 신부님 (2002.1. ~

40대 ; 이기범 요셉 신부님 (2003.9. ~

41대 ; 박재현 시메온 신부님 (2004.9. ~

42대 ; 원훈 갈리스토 신부님 (2006.2. ~

43대 ; 주영덕 비오 신부님 (2007.9. ~

44대 ; 박재우 사도요한 신부님 (2008.2. ~

45대 ; 윤장호 시몬 신부님 (2009.9. ~

46대 ; 안상용 디오니시오 신부님 (2011.8. ~ 2012.5.)

47대 ; 존 케네디 신부님 (2012.8. ~ 2013.2.)

48대 ; 김현국 사도요한 신부님 (2014.1. ~

49대 ; 김영태 시몬 신부님 (2015.1. ~

50대 ; 이준 마르코 신부님 (2016.1. ~

51대 ; 이현선 데니스 신부님 (2017.2. ~ 2018.1.)

52대 ; 손응락 요셉 신부님 (2019.12. ~

53대 ; 방상훈 모세 신부님 (2022.2. ~

54대 ; 윤희준 아모스 신부님 (2023.1. ~

55대 ; 김만식 요셉 신부님

56대 ; 박찬욱 안토니오 신부님

 

홍천성당 출신 사제

김학용 시몬 신부님 (1936년 서품)

용영일 프란치스코하비에르 신부님 (1990년 서품)

정영우 세례자요한 신부님 (1992년 서품)

신정호 모세 신부님 (2010년 서품)

권오명 사도요한 신부님 (2015년 서품)

 

홍천성당 순례확인도장입니다. 위치는 성당 건물 왼편 출입구에 있습니다.
홍천성당 순례확인도장입니다. 위치는 성당 건물 왼편 출입구에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