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99

(남자 세례명) 성 조신철 가롤로 (축일 ; 9월 20일) 성 조신철 가롤로 (1796~1839) (축일 ; 9월 20일) 조신철 가롤로 성인은 조선시대 신분상 ‘하인’으로 분류되는 마부이었습니다.그 당시에 비천한 지위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편견 없이 대해 준 주인 성 유진길 아우구스티노에 의해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였고, 누구보다도 적극적으로 한국 천주교회를 위하여 헌신하였습니다. 성 조신철은 강원도 화양에 살던 외교인 집안에서 태어났다.다섯 살 때 어머니를 여의고 얼마 안 되는 가산은 아버지가 탕진해 앞길이 캄캄했던 소년 조신철은 집을 떠나 절에 들어가 머리를 깎고 스님들과 같이 몇 해를 지냈습니다.그 후 환속하여 서소문 밖에서 이집 저집 다니며 머슴살이로 생계를 이어나갔습니다. 그러다 23세 때 매년 동짓달 중국으로 파견되는 사절단(동지사)의 종인 마부(馬夫).. 2024. 9. 20.
(남자 세례명) 성 제라르도 마젤라 평수사 (축일 ; 10월 16일) 성 제라르도 마젤라 평수사 (St. Gerardus Majella, C.) 제라르도는 1726년 이탈리아의 나폴리 근처 무로라는 마을에서 태어났습니다.어렸을 때부터 가난했지만 인내하면서 살아왔습니다. 1749년 그가 23세일 때 나폴리의 주교 성 알폰소 리구오리가 창설한 구속조회 수사 신부 가라포가 무로에 와서 개최한 묵상회에 제라르도는 참여하고 본인도 수도원에 들어가고 합니다. 겸손하고 성실하였던 제라르도는 1752년에는 수도 서원을 발하게 되었습니다.수도자로서 모범적인 삶을 살았던 제라르도는 많은 신자들에게 영적 지도를 해주었고, 병자들을 간호해주었습니다. 하지만 원래 건강한 체질이 아니었기에 1755년 10월 16일 29세라는 젊은 나이에 병으로 선종하였습니다. 2024. 9. 19.
(남자 세례명) 소(小) 야고보 사도 (축일 ; 5월 3일) 소(小) 야고보 사도 활동 ; 1세기 팔레스티나수호성인 ; 모직물 제조업자축일 ; 5월 3일상징 ; 방망이 예수님의 12사도 중에는 야고보가 두 분 있는데 제베대오의 아들 야고보를 구분 편의상 대(大) 야고보라고 부르고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를 소(小) 야고보라고 부릅니다. 소 야고보는 49년과 50년 사이에 있엇던 예루살렘 공의회에서 유다인과 다른 지역에서 온 신자들 사이의 일치를 추구하는 임무를 맡았습니다.유다인 이외의 사람들에게 유다의 풍습인 할례를 강요하지 않는 것 등 신앙생활에서 신자들의 실천사항에 대한 일종의 가이드라인을 정하여 주었습니다. 전승에 의하면, (소) 야고보는 팔레스티나와 이집트에 정착하여 복음을 전하다가 이집트 또는 시리아에서 순교하였다고 합니다. 2024. 9. 18.
(남자 세례명) 성 필립보 사도 (축일 ; 5월 3일) 성 필립보 사도 (St. Philippus Ap.) 활동 ; 1세기, 팔레스티나수호성인 ; 염색업자축일 ; 5월 3일상징 ; 십자가, 용 '말(馬)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는 뜻을 가진 필립보는 베드로와 안드레아 형제와 같은 고향인 벳사이다 출신이었습니다. 세례자 요한의 제자였지만 예수님으로부터 직접 제자로 간택되어 나타나엘을 그리스도께 인도하였습니다. 오병이어 기적의 순간에도 예수님과 함께 있었고 예수님을 찾아온 이방인에게 예수님을 소개하였습니다. 예수님의 수난이 가까워졌을 때 필립보가 "주님, 저희가 아버지를 뵙게 해주십시오. 저희에게는 그것으로 충분하겠습니다."라고 간청하자 예수님께서는 "필립보야, 나를 본 사람은 곧 아버지를 뵌 것이다."(요한복음 14장 8,9절)라고 대답하였습니다. 전승에 의하면 .. 2024. 9.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