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99

(남자 세례명) 성 파트리치오(패트릭) (축일 ; 3월 17일) 성 파트리치오 (St. Patricius, 389?~461?) (축일 ; 3월 17일) 파트리치오 성인은 스코틀랜드의 기르바그에서 태어났습니다. 하지만 16세 때 아일랜드의 해적들에게 붙잡혀서 아일랜드의 한 이교인에게 노예로 팔렸다가 6년 후에 도피할 기회를 얻어서 무사히 고향 집으로 돌아갔습니다. 프랑스 레닌 수도원에 들어가 옥세르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귀국하였습니다.417년에 사제로 서품되고 432년경에는 제르마노 성인으로부터 주교로 서품되어 아일랜드로 파견되었습니다. 그리스도교에 대하여 적개심을 품었던 많은 원주민 추장들을 기적적인 방법으로 회개시킴으로써 섬 전체에 그리스도교를 뿌리 깊게 심었습니다. 그리고 클로버(Clover) 한 포기를 이용하여 삼위일체 신앙 개념을 명쾌하게 설명한 일화가 있습니다.. 2024. 9. 17.
남방제 천주교 성지 순례 (+미사 시간 안내) 남방제 천주교 성지의 의미와 역사 조화서 베드로 성인은 그의 아버지 조 안드레아(1839. 기해박해)가 순교한 후에 ‘수원 도마지(지금의 평택)’에서 남방제로 이주하여 살았고 한 막달레나와 결혼하여 조윤호 요셉 성인(1848)을 낳아 성가정을 이루었습니다.조화서 베드로 성인은 우리나라 두 번째 사제 최양업 토마스 신부의 마부와 복사로 선교 활동을 돕고 전국의 신자촌으로 모시고 다녔습니다.‘최양업 신부의 서한’에 의하면 1850년 초부터 6개월 동안 5개 도(道)와 5천여 리(里)를 걸으며, 수많은 신자를 방문하였습니다. 순방 중에 포졸들의 습격과 외교인들에게 흠씬 두들겨 맞고 수없이 쫓겨나고 붙잡혀서 갖은 고생을 다하였습니다.최양업 토마스 신부가 경신박해(1860) 때, 갇혔다가 가까스로 빠져나와 경상.. 2024. 9. 17.
서울 서소문 밖 네거리 순교성지 (+미사 시간 안내) 서울 서소문 밖 네거리 천주교 순교성지의 의미와 역사 서소문 즉 소의문(昭義門)은 아현과 남대문 밖의 칠패시장으로 연결되던 문으로 새벽부터 사람들이 많이 붐비던 곳이었습니다. 서소문 밖 형장은 현재 서소문로와 의주로가 교차하는 서소문 공원 인근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서소문 역사 공원과 인근 부지가 조선의 공식 처형지로 등장한 것은 태종 16년인 1416년이었습니다.개국 초 동대문 밖에서 사형을 집행하던 조선 조정은 "형장은 사직단 서쪽에 두어야 한다."는 [예기]의 가르침을 따른 것이었습니다. 기록을 근거로 서소문 밖을 사형장으로 삼았고, 주로 능지처사나 효수, 사사 등 중죄인의 형장으로 이용하였습니다.조선 후기에 들어서면서는 천주교 신자들의 처형지로 역사에 등장하였습니다. 경복궁에서 바라볼 때는 이곳이.. 2024. 9. 17.
절두산 천주교 성지의 역사, 의미, 성지 순례 후기 (+미사 시간 안내) 절두산 순교 성지의 역사, 유래, 순례 후기 양화진은 서해의 강화에서 수도 서울로 들어오는 관문으로, 고려시대부터 버들꽃이 어우러진 경치가 아름답기로 유명하였습니다.1866년 가을, 로즈 제독이 이끄는 프랑스 함대가 강화도 침략에 앞서 수로와 도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양화진까지 진출하였습니다.조선 조정에서는 서양 오랑캐가 다녀가 더럽혀진 곳은 그들과 통한 천주교인의 피로 씻어내야 한다는 명문을 내세워 양화진을 천주교인 처형지로 삼았습니다. 잠두봉은 박해 당시에 많은 이들이 담대하게 신앙을 고백하고 증거하여 치명한 곳이라 하여 "절두산(切頭山)"이라 불리기 시작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습니다. 양화진에서 순교한 천주교인은 300명 이상인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름을 확인할 수 있는 순교자는 29명이며, 그 행적.. 2024. 9.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