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95

(여자 세례명) 성녀 파우스티나 수녀 (축일 ; 10월 5일) 성녀 파우스티나 (Sta. Faustina Kowalska) (1905 ~ 1938) 폴란드 글로고비에츠에서 1905년 십 남매 중 셋째로 태어난 화우스띠나는 가난하지만 올곧은 부모 밑에서 하느님에 대한 사랑과 순종을 몸에 익히며 자랐습니다. 20세 때, 바르샤바의 자비의 성모 수녀원에 입회, 1931년 하느님 자비에 대한 메시지를 인류에게 전하라는 계시를 받아, "나의 영혼 안에서 하느님의 자비"라는 명칭으로 일기를 쓰기 시작했습니다.내용은 이례적인 영적 체험과 하느님의 자비에 대한 신심을 밝히는 것이었습니다. 젊은 나이에 폐결핵으로 계속되는 고통 속에서도 다른 수녀님들에게 이 신비를 자상하게 가르쳤고,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기 전날인 1938년 10월 5일 선종하였습니다. 하느님의 자비에 대한 신심.. 2024. 8. 20.
(남자 세례명 추천) 성 예로니모 (축일 ; 9월 30일) 성 예로니모 (St. Hieronymus) 활동시기 ; 347 ~ 419, 이탈리아수호성인 ; 학자, 학생, 순례자, 고고학자, 번역가축일 ; 9월 30일특이사항 ; 4대 교부학자 중 한 분, 교부학자, "라틴어 성경" 번역자 1298년 교황 보니파시오 8세는 예로니모를 성 암브로시오, 성 아우구스티노, 성 그레고리오 대교황과 함께 서방 교회의 4대 교부(敎父)로 선포하였습니다. 천주교에서 교부(敎父)란 교회의 아버지라는 뜻으로서 본인의 신학사상을 글로 남긴 저자를 의미하며 공의회나 교황이 교부로 선포하였거나, 교회의 공적 "순교록"에 수록되었거나, 공의회나 교황 또는 전례문헌이 직접 그의 글을 인용하여야 합니다. 교부는 예수님의 12제자, 네 명의 복음사가 다음으로 중요한 가톨릭 성인들입니다. 예로니모.. 2024. 8. 20.
(남자 세례명 추천) 성 요한 보스코 (돈 보스코) (축일 ; 1월 31일) (위 사진은 서울 구로3동성당 안에 있는 요한보스코 성인 석상입니다. '젊은이는 나의 기쁨'이라는 문구가 눈에 띄었습니다.) 성 요한 보스코(돈 보스코) (St. Jonnes Don Bosco) 활동시기 ; 1815 ~ 1888, 이탈리아축일 ; 1월 31일수호성인 ; 청소년, 청년, 교육자, 출판 편집자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보스코는 두 살 때 부친을 여의고 열여섯 살 때 신학교에 입학하여 토리노에서 공부를 계속하여 1841년 사제로 서품되었습니다. 고아들을 위한 일을 시작하고, 1844년에는 필로메나 고아원의 원장이 되고 원아들을 위한 집을 마련하는 등 헌신적으로 활동하였습니다. 어린이들이 점점 늘어나 동료 사제들과 함께 어린이들에게 보금자리를 마련하고 엄격한 규율이나 훈련보다는 사랑으로 대하고 그들을.. 2024. 8. 19.
(남자 세례명) 성 빈첸시오 드 폴 (축일 ; 9월 27일) 성 빈첸시오 드 폴 (St. Vincent de Paul) (1576 ~ 1660) 프랑스의 농부인 장 드 폴과 베르트랑드 드 모라스의 6남매 중 셋째 아들인 빈첸시오는 프랑스의 퓨이에서 1576년에 태어났고 1600년에 사제가 되었습니다.빈첸시오는 프랑스어로 승리자라는 뜻입니다. 1618년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성인을 파리에서 만나 그의 제자가 되었습니다. 1625년에 창설한 선교회는 '빈첸시오회와 나자로회'로 알려졌고 주로 농부들에게 선교활동을 폈습니다.또한 가난한 이들을 도우려고 본당 단위의 회를 조직하고 1633년에는 루이사 드 마릴락과 더불어 '카리타스 자매회(애덕회)'고 창설하였습니다. 귀족적이고 충성스러운 성격을 지녔던 성인은 인간의 고통과 비참함을 덜어 주려고 평생을 다 바치고 그러한 인간.. 2024. 8.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