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천주교 성인, 성녀, 복자, 세례명164 (남자 세례명 추천) 세바스티아노 성인 (축일 ; 1월 20일) (위 사진은 전라남도 곡성성당 성전 안에 있는 세바스티아노 성인 스테인드글라스입니다.) 세바스티아노 성인 (St. Sebastianus, 축일 ; 1월 20일) 세바스티아노 성인은 프랑스 남부 나르본 태생으로, 프랑스인 아버지와 이탈리아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283년경에 로마에서 군인이 되었습니다. 세바스티아노는 독실한 그리스도인으로 많은 이들을 개종시키고 박해에 굴복하지 않도록 위로하고 격려했습니다.세바스티아노 성인을 통해 개종한 사람 중에는 재판장인 성 니코스트라투스와 그의 아내 성녀 조아도 있었는데, 조아 성녀는 언어 장애가 있었지만 세바스티아노 성인의 기도로 기적적으로 다시 말을 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그 밖에도 간수였던 성 클라우디우스, 로마 집정관 크로마티우스와 아들 티부르티우스.. 2024. 10. 13. (남자 세례명 추천) 이시도로 성인 (축일 ; 5월 15일) 이시도로 성인 (St. Isidore , 1070 ~ 1130) (축일 ; 5월 15일) 이시도로 성인은 스페인 마드리드의 수호성인이며 농부와 일용직 노동자의 수호성인으로 공경받고 있습니다. 이시도로 성인은 스페인 마드리드의 어느 가난하지만 신앙심이 깊은 가정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그는 부유한 영주의 농장에서 농사일을 하면서 평생을 노동과 기도로 단순한 삶을 살았습니다.성인은 매일 일하러 가기 전에 미사 참례와 기도를 하고 주일에는 일하지 않고 거룩하게 지냈습니다. ‘기도하고 또 일하라.'는 가르침을 삶을 통해 실천한 것입니다. 이시도로 성인의 동료 일꾼들은 그가 신앙을 핑계로 매일 늦게 나오고 주일에도 쉬면서 일을 게을리한다고 농장주에게 고자질하였습니다. 농장주가 질책하자 이시도로 성인은 자기 밭과.. 2024. 10. 12. (세례명 추천) 임마누엘(라) (축일 ; 12월 25일) 위 사진은 대전 원신흥동성당 안에 있는 이콘 그림으로서 예수님의 탄생을 표현한 작품입니다. 임마누엘(Immanuel) (축일 ; 12월 25일) 세례성사를 받을 때 성인 또는 성녀를 자신의 주보성인으로 정하고 그 이름을 세례명으로 정합니다. 간혹, 실제 성인 또는 성녀의 이름이 아닌 그리스도교의 구원 신비나 특별한 성덕을 의미하는 이름을 세례명으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성탄을 의미하는 ‘노엘(축일 ; 12월 25일)'과 ‘노엘라', ‘은총'이라는 의미를 지닌 ‘그라시아(축일 ; 8월 21일)'가 바로 그런 세례명입니다. ‘임마누엘'도 이런 특별한 세례명으로 남성은 ‘임마누엘’, 여성은 ‘임마누엘라’로 사용합니다. 구약성경 이사야서 7장 14절에서 이사야 예언자는 아하스와 그의 왕실을 적에게서 구원할 아기.. 2024. 10. 12. (남자 세례명) 성 갈리스토 1세 (축일 ; 10월 14일) 성 갈리스토 1세 교황 (St. Callistus 1) (축일 10월 14일) 갈리스토 성인은 로마에서 노예로 태어났습니다. 주인이 경영하는 은행에서 재정 관리 업무 도우미였는데 사업에 실패해 예금자들에게 큰 손실을 입혀서 중노동형을 선고받았습니다. 석방된 이후에는 안식일에 회당에서 언쟁으로 다투다가 다시 체포되어 광산에서 노역하는일하는 형벌을 선고받아 가혹한 학대까지 받는 고통스러운 삶을 살았습니다. 성인의 이름 갈리스토는 ‘매우 아름답다’라는 의미를 지닌 그리스어 ‘칼리스토스’에서 비롯되었는데, 이름과는 정반대의 삶을 살았던 것입니다. 나중에 갈리스토 성인은 당시 황제의 첩이었던 마르키아의 간청으로 다른 죄수들과 함께 석방되었고 노예 신분에서도 해방됩니다. 자유의 신분이 된 갈리스토 성인은 그리스도.. 2024. 10. 12.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41 다음 반응형